본문 바로가기
건강저널

생리후 갈색혈 묻어 나오는 이유


어느날 갑자기 생리 후 갈색혈이 묻어 나온다면?


누구나 당황하기 마련이지만, 간혹 생리 때 빠져나오지 못한 잔여혈이 질 분비물과 함께 묻어나올 수 있어 일시적인 현상이라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단, 증상이 계속될 경우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방치하는 것은 좋지 않다.



생리후 갈색혈 묻어 나오는 이유 [1] 임신 가능성


갈색혈과 갈색냉이 나오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임신이다.


임산부 중 30% 정도에게서 배란혈과 착상혈 등에 의해 갈색빛을 띠는 질분비물이 나올 수 있다.


배란혈은 난자가 배란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량의 출혈을 말한다.



이는 호르몬 때문에 발생하는 일종의 자궁내막 반응 현상으로, 보통 생리 시작 2주 후, 다음 생리 예정일로부터 12~16일 전에 나오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색은 갈색이나 핑크색을 많이 띠며, 1~2일 정도 지속된다.


착상혈은 수정란이 착상을 하는 과정에서 두꺼워진 자궁내막을 뚫고 들어갈 때 발생하는 출혈을 말한다.



배란일로부터 6~12일 사이에 보통 나타나며, 1~3일 정도 지속된다.


양은 속옷에 한 두방울 묻어나올 정도이거나 소변을 볼때 살짝 비칠 정도로 많지 않다.


출혈과 함께 나오는 질 분비물인 냉은 계란 흰자처럼 투명하고 끈끈한 점액의 형태를 보이며, 아랫배에 묵직한 통증이 동반되기도 한다.



생리후 갈색혈 묻어 나오는 이유 [2] 질염


질염은 여성이라면 일생동안 한번쯤 겪을 정도로 흔한 질병으로, 질이 균에 감염되어 염증이 발생했을 때 나타난다.


여성은 요도가 짧은데다 항문이 요도 입구와 가까워 질염과 방광염에 걸릴 위험이 높다.


질염은 원인에 따라 크게 세균성, 칸디다, 트리코모나스 질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빈도가 가장 높은 질염은 세균성 질염이며, 갈색혈을 띠는 질염은 트리코모나스 질염이 꼽힌다.


트리코모나스 질염은 트리코모나스 바기날리스라는 원충류 감염에 의해 발병된다.


관계를 통해 상대방에게서 감염될 수도 있지만, 손이나 불결한 변기, 수건 등을 통해서도 전염될 수 있고 구강과 직장으로도 감염되는 등 원인은 다양하다.



원인균인 트리코모나스 바기날리스는 물에서 움직일 수 있고, 다른 물건의 표면에서도 살 수 있을 정도로 강하기 때문에 관계에 의한 접촉이 아니더라도 감염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리코모나스 질염에 걸리면 갈색혈이 나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질 점막이 염증반응에 의해 붉게 붓고 외음부가 부어오른다.


보통 항생제를 처방받아 치료하게 되는데, 대개 1일 3회씩 7일 정도 복용하지만 한 번 복용하는 것만으로도 치료가 되기도 한다.



생리후 갈색혈 묻어 나오는 이유 [3] 부정출혈


부정출혈은 정상적인 생리주기 및 양, 기간 등을 벗어나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자궁 내 출혈을 말한다.


약 15~20% 여성이 경험할 정도로 흔한데, 색은 붉을 수도 있지만 옅은 갈색이나 분홍색을 띠는 경우도 흔하다.


기질성 출혈과 기능성 출혈로 크게 구분할 수 있는데, 75% 정도가 호르몬 불균형이 원인인 기능성 출혈로 부정출혈이 나타난다.



호르몬 불균형이 나타나는 원인은 스트레스를 비롯해 피로누적, 급격한 체중 변화 등 다양하다.


피임약을 복용한 후 갑자기 출혈을 보일 때도 있는데, 피임약에 포함된 호르몬으로 인해 자궁 내막이 점차 떨어져 나오면서 얇아지기 때문이다.


기능성 출혈은 자궁과 난소 질환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출혈로, 출혈이 계속되고 아랫배 통증 등이 동반될 경우 자궁경부 염증, 질내 상처, 자궁경부암 등을 의심해 봐야 한다.



댓글